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돋보기로 간이 망원경 만들기

by #^*) 2025. 3. 19.

망원경이라고 하면 거창한 천체망원경을 떠올릴 수도 있지만, 사실 우리는 간단한 렌즈만으로도 망원경의 원리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.

 

돋보기 같은 볼록렌즈와 간단한 실험만으로 망원경을 만들고, 초점 맞추기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간이 망원경을 직접 만들어보고, 망원경이 어떻게 멀리 있는 물체를 더 크게 보이게 하는지 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.

1. 망원경의 기본 원리

망원경은 기본적으로 멀리 있는 물체에서 오는 빛을 모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구입니다. 종류는 다양하지만, 가장 간단한 망원경은 굴절망원경입니다.

 

굴절망원경은 **두 개의 볼록렌즈(대물렌즈와 접안렌즈)**를 이용하여 확대된 상을 만들어냅니다.

  • 대물렌즈: 멀리 있는 물체에서 오는 빛을 모아줌
  • 접안렌즈: 대물렌즈가 만든 상을 확대하여 눈에 전달

이 원리를 이용하면 돋보기 두 개만으로도 간이 망원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!

 

2. 간이 망원경 만들기: 준비물과 방법

① 준비물

  • 볼록렌즈 2개 (돋보기로 사용 가능, 초점거리가 다른 두 개)
  • 휴지심 또는 종이 말이기
  • 투명테이프 또는 고정할 수 있는 재료

② 만들기 방법

  1. 대물렌즈 선택: 초점거리가 긴(즉, 배율이 낮은) 돋보기를 대물렌즈로 사용합니다.
  2. 접안렌즈 선택: 초점거리가 짧은(즉, 배율이 높은) 돋보기를 접안렌즈로 사용합니다.
  3. 렌즈 배치: 두 렌즈를 일직선으로 배치하고, 대물렌즈를 앞쪽에, 접안렌즈를 눈 쪽에 둡니다.
  4. 거리 조절: 두 렌즈 사이 거리를 조절하면서 선명한 상이 보이는 위치를 찾습니다.

렌즈 사이의 거리는 대략 "대물렌즈 초점거리 + 접안렌즈 초점거리" 정도가 적당합니다.

 

3. 망원경 초점 맞추기 실험

① 초점 거리 측정하기

렌즈의 초점거리를 알면, 망원경을 조립할 때 도움이 됩니다.

  1. 돋보기를 햇빛이 드는 곳에 놓고, 벽에 비춰봅니다.
  2. 빛이 가장 작고 선명하게 모이는 거리가 초점거리입니다.
  3. 두 개의 렌즈 초점거리를 측정하고,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거리를 대략 결정합니다.

② 초점 조절 실험

  1. 망원경을 만든 후, 먼 곳의 글씨나 나뭇잎을 관찰합니다.
  2.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지점을 찾습니다.
  3. 초점이 맞지 않으면, 눈과 접안렌즈 사이 거리도 조절해 봅니다.

 

망원경 실험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

망원경의 작동 원리 이해: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역할을 직접 실험하며 배울 수 있습니다.
초점거리 개념 습득: 볼록렌즈의 초점거리가 왜 중요한지 경험할 수 있습니다.
광학 원리 체험: 빛의 경로, 확대와 축소 개념을 직접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돋보기 두 개만으로 망원경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, 신기하지 않나요? 실제로 우리가 쓰는 안경, 카메라 렌즈, 현미경, 스마트폰 카메라까지 모두 이런 광학 원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.

 

일상 속에서 망원경의 원리를 직접 체험해 보고, 간단한 실험을 통해 과학을 더 재미있게 배워보세요!